준영이의 성장일기(FrontEnd)

6주차 클라우드 블로그 본문

클라우드

6주차 클라우드 블로그

Jay_Jung 2024. 4. 17. 20:52

 

저번부터 본격적인 ubuntu를 이용한 실습을 시작했다. 이번 주차도 동일하게 ubuntu를 이용한 실습을 진행하였고

메모장에 정리한 개념들과 수업시간에 실습한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1.  rwx 

의미 -> r: 읽기 w: 쓰기 x: 실행

 

ubuntu 에서 rwx rwx rwx라는 걸 볼 수 있는데 각각 rwx가 의미하는 것은 뭘까?

✅ 1번째 rwx: 사용자의 권한을 의미한다.

✅ 2번째 rwx: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권한을 의미한다.

✅ 3번째 rwx: 사용자와 그룹을 제외한 이외의 대상의 권한을 의미한다.

 

2. 권한의 변경

 

만약 기존의 권한 rwx를 rw로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사용자의 권한 rwx를 rw로 바꾸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때 우리는 chmod 명령어와 2진수의 개념을 써야한다.

 

✅ rwx는 읽기, 저장, 쓰기 모두 가능하므로 1  1  1 로 표시한다.

-> 즉, 2^2 + 2^1 + 2^0(4+2+1) = 7이 나온다.

-> 블로그를 작성한 4월17일에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제를 풀었는데 해당 개념을 이용한 문제가 나왔다.

 

✅ rw는 읽기, 저장만  가능하므로 1  1  0 으로 표시하고 계산하면 6이 나온다

 

즉 , chmod 6 7 7 (파일명) 이라는 명령어를 통해 사용자의 권한 중 x(실행)를 없앨 수 있다.

 

Tip❗<chmod 축약 버전>

 

   [who]       -/+     [what]
u : 사용자             r: 읽기
g : 그룹               w: 쓰기
O : 그외               x: 실행

 

<예시>

chmod u+rw file1.txt : file1.txt에 대해서 사용자가 읽고 저장하는 권한을 가지도록 추가하겠다.

chmod o-rwx file1.txt : file1.txt에 대해서 others가 읽고 저장하고 실행하는 권한을 제거하겠다.

 

3. 파이프 라인

 

특징 : 명령어를 연결해준다는 특징이 있다.

 

ex. ls *.txt |  tar czf text.tar.gz

의미: txt로 끝나는 파일을 전부 나열하고 나열한 것들을 text.tar.gz라는 이름으로 zip 파일을 만든다.

-> tar czf : zip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 이다.

 

 

4. 현재 위치에서 파일을 찾는 방법

 

find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 형식: find 찾을위치 옵션 검색어  

-> ex : find . -name "file*"

    의미: 현재 디렉토리(.)에서 시작하여, 이름이 "file"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찾아서 나열한다.

    ( ubuntu 에서 파일을 찾는 기본 형태의 명령어 이다. )

 

5. 파일에서 문자열을 찾는 방법

 

grep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 형식: grep 검색할문자 찾고자하는 파일명

-> ex : grep nice file* 

    의미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file'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들을 대상으로, 각 파일 내에서 "nice"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줄을 찾아서 출력한다.

 

+ 추가 개념✨

 

만약 찾은 줄이 몇번째 줄 인지까지 알고 싶다면? 

: -n 을 추가한다.

 

ex.  grep -n nice file*

의미: nice가 있는 줄의 번호까지 출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