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론트엔드 (52)
준영이의 성장일기(FrontEnd)

현재 Chatgpt를 활용한 개발자 포트폴리오 제작 서비스를 주제로 졸업작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5월 27일 부로 졸업작품 중간발표 까지 마쳤다. 프로젝트 기반은 Next.js 이다. 그리고 내가 프로젝트에서 맡은 태스크는 다음과 같다. https://github.com/TU-GitLio/frontend GitHub - TU-GitLio/frontendContribute to TU-GitLio/fronten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 나의 졸업작품 태스크 모음1. Introduction , Contact Section 퍼블리싱2. 포트폴리오 미리보기 기능 구현3. 각 섹션 별로 레이아웃 option 데이터 저장되도록 구..

저번에 작성한 (1)과 같이 오늘은 폴더 구조의 변경에 대해서 작업한 과정을 정리하고자 한다. 다른 분이 작성해준 블로그 내용들과 구글링을 통한 검색 그리고 chatGpt에게 물어본 내용을 바탕으로 폴더구조를 재구성 해보았다.https://velog.io/@leejungoo1396/vite-typeScript-%ED%94%84%EB%A1%9C%EC%A0%9D%ED%8A%B8-%ED%8F%B4%EB%8D%94-%EA%B5%AC%EC%A1%B0 vite) typeScript 프로젝트 폴더 구조1) assets 폴더: 정적 자원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2) axios 폴더: Axio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HTTP 요청을 수행하는 디렉토리 3) components 폴더: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리액트 컴포넌트들을..

교내 동아리에서 진행 중인 Open API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주제로 스터디를 하고 있다. 현재 활용하고 있는 오픈 API로는 Google Map API, 파이어베이스 API,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_GW API 총 3 가지이고 오늘 한 태스크는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Google Map에 관광지에 따라서 마커가 랜더링 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zustand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였고 위치기반 관광지역 정보를 타입스크립트를 적용하여 받아왔다. Open API 문서를 다운 받고 사용할려는 API의 엔드포인트 , 위치기반 관광지역 정보에 해당하는 문서의 챕터를 보면서 request로 어떤걸 보내야하는지 response로는 무엇인지 알아야 했다. 그래야 타입스크립트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 im..

현재 교내에 있는 UMC TUK 6기 활동을 하고있고 WEB 파트의 스터디장으로서 어느 덧 7주차 스터디까지 도착했다. UMC 활동을 요약하자면 10주차 까지 워크북 작성을 무사히 완료한 챌린저들은 방학 때 8주간의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데모데이를 통해 팀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발표한다. 어느새 7주차 활동이 된 지금 블로그를 조금 늦게 작성한 감이 있지만 이번 7주차 미션을 진행하며 문제를 해결한 과정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이 전 미션들도(1주차~6주차) 해결 과정과 개념에 대해서 정리할 예정이다. 팀 프로젝트 전 까지 정리해보자!! 7주차 미션 중 가장 어려웠던 백엔드 서버와 통신하여 회원가입/로그인을 구현한 부분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백엔드 서버 같은 경우에서는 UMC 리드님이 제공해..